• [단어 사전] 검증과 확인, validate와 verify 그리고 check, confirm
    기술번역 & 변수 2022. 6. 4. 11:32
    반응형

     Vue.js에서는 Vee-validate를 사용하여 입력값을 검증하고, Jwt와 같은 토큰을 검증할 때는 TokenVerifier를 이용하여 검증한다. check와 confirm은 함수를 새로 만들어서 사용자의 값이나 상태를 검증할 때 붙인다. 결국, 구분을 하지 않으면, validateEmail(), verifyEmail(), checkEmail(), confirmEmail() 4가지 동사가 섞인 함수가 만들어진다.

     

     validate와 verify의 구분 방법은 개발자가 고려할 것인가, 사용자가 고려할 것인가에 따라 나뉘는것 같다.

    1. validate (validation)

     사용자가 회원가입을 할 경우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조건에 맞는지 확인하는 경우, 사용자 입장에서 실수로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경우 사용된다.

     

    • 사용자의 입력값을 검증할 프론트에서 사용
    • 서버에서 사용자의 입력값을 검증할 때 사용
    • 400 Bad Request를 전달할 경우. (Restful API - 파라미터 유효성 검증 실패)

     

    2. verify (verification)

     jwt을 이용해 토큰을 검증할 경우, 개발 단계부터 개발자가 고려해야될 상황에 사용된다.

    • 개발자가 아키텍쳐 설계 시 고려되어야 할 상황에서 사용
    • 401 Unauthorized를 전달할 경우. (Restful API - 인증 실패)
    • 403 Forbidden을 전달할 경우. (Restful API - 인증 성공, 권한 없음)

     

    3. check

     check는 get과 같이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다. verify와 validate보다 가볍게 사용된다. Kotlin에서 문법적으로 check블록은 객체가 원하는 상태에 있는지 확인하고, IllegalStateException이 발생한다.

     

    • 객체의 상태를 검증할 때 사용한다.
    • IllegalStateException 발생

     

    4. confirm

     영어 표현상 확인한것을 확실하게 사실로 만들 때 사용된다. javascript에서는 확인/취소가 나오는 확인창을 보여줄 때 사용한다. 사용자가 이미 한 번 선택을 했지만, 또 한번 물어볼 때 사용된다.

     

     어디에 사용될 수 있을까? 

    • 서버에서 한번 검증(validate, verify)되어 들어가있는 DB의 값을 확인할 때 사용한다.
    •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 값을 한번 더 검증할 때 사용한다.

     

    5. 결론

    • 사용자 입력값인 Email을 검증 : email.validate()
    • 개발 인증 고려사항인 Token을 검증 : jwt.verify()
    • url이 white리스트인지 검증 : url.isWhiteListUrl(whiteListUrls)
    • 객체의 상태 검증 : check(objectState)

     우리나라말은 너무 어렵다. Email을 검증(확인)하다...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참고:

    https://onestone-dev.tistory.com/9?category=1005339

    https://velog.io/@yes3427/TIL-DAY4-validation-verification

    https://theqoo.net/square/470122167

    http://www.emb-lab.com/wordpress/?p=4642

    반응형

    '기술번역 & 변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[단어 사전] 사업자 관련  (0) 2022.10.30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