• 문장의 부연설명 기호_줄표, 소괄호, 대괄호
    기술번역 & 변수/kubernetes_website 2022. 9. 10. 15:12
    반응형

    상황

    번역 작업을 하면서, 영어 문장의 마지막 줄에 줄표(—, dash)가 있을 경우 어떤 형태로 가져가야 할지에 대한 정보 정리 글이다.

     

    의미

    기호 한국어 HTML 심볼
    줄표 —
    • 한글: 강조나 부가 설명 또는 예를 들기 위하여 중간에 어구를 삽입하는 경우, 문장 안의 다른 어구들과 구분하기 위해 해당 어구의 앞뒤에 쉼표를 쓰는데 쉼표 대신 줄표를 쓸 수 있다. 삽입한 어구 안에 쉼표가 있을 때에는 삽입한 어구의 앞뒤에는 쉼표를 쓰지 않고 줄표를 써야 한다.
    • 영문: 문장 중간에 삽입되는 절이나 구, 부연으로 삽입된 동격 또는 설명 등의 앞뒤에 놓인 쉼표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. 이 경우 쉼표에 비해 강조의 의미가 있다.

     

    실례

    • it's clear from Kubernetes's CPU graphs that only one of the pods is actually doing any work—because only one of the pods is receiving any traffic.
      • 쿠버네티스의 CPU 그래프는 명확하게 파드 중 하나만 실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.—파드 중 하나만 트래픽을 수신하고 있기 때문에
    • all pods are now taking traffic—without having to change a line of code.
      • 지금 모든 파드가 트래픽을 받고 있다.—코드를 변경하지 않고.

    위 두 문장을 예로 번역을 보면, 이미 한글 문장은 끝나 마침표를 찍었지만, 영어 문장에서는 앞의 문장을 부연 설명하는 줄표로 두 문장을 이어주고 있다.

     

    줄표가 어떤 형식으로 한글 문장에서 사용되는지 알아보자.

    • 나는 ― 솔직히 말하면 ― 그 말이 별로 탐탁지 않아.
    • 치열한 접전 끝에 우리팀은 ― 다시 생각하기도 싫지만 ― 결국 지고 말았다.
    • 치열한 접전 끝에 우리 팀은 ― 다시 생각하기도 싫고, 말을 꺼내기도 싫지만 ― 결국 지고 말았다.

     

     문장 중간에 사용되어, 앞 문장을 꾸며주고 있다. 영어 문장에서 뒤에 한 줄 추가하는 방식과는 다르다.

     

    결론

    사례의 사용법을 확인하고 문장을 다시 구성해보자.

    • 쿠버네티스의 CPU 그래프는 명확하게 파드 중 하나만 —트래픽을 수신하고 있기 때문에— 실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.
    • 지금 모든 파드가 —코드를 변경하지 않고— 트래픽을 받고 있다.

     

    추가

    대쉬는 한글 문장에서 다른 쉽표(,)가 없을 때 ,,와 (), []로도 사용가능하다.

    • 지금 모든 파드가 ,코드를 변경하지 않고, 트래픽을 받고 있다.
    • 지금 모든 파드가 (코드를 변경하지 않고) 트래픽을 받고 있다.
    • 지금 모든 파드가 [코드를 변경하지 않고] 트래픽을 받고 있다.

     

    참고:

    https://kubernetes.io/blog/2018/11/07/grpc-load-balancing-on-kubernetes-without-tears/

    https://www.korean.go.kr/front/onlineQna/onlineQnaView.do?mn_id=216&qna_seq=102481

    https://www.korean.go.kr/front/onlineQna/onlineQnaView.do?mn_id=216&qna_seq=111471 

   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C%A4%84%ED%91%9C

    반응형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